역사

Home > 학회소개 > 역사

대한주산의학회 (The Korean Society of Perinatology)는 1986년 6월 4일 동경에서 개최된 제4차 아시아-대양주 주산의학회에 참석한 이화의대 강신명 교수가 주축이 되어 이에 뜻을 같이하는 노경병 회장, 송명도 명예회장 등 원로급회원과 함께 1986년 6월 30일 조선호텔에서 모임을 갖고 창립총회를 개최하였다.
1986년
10월 10일
신라호텔에서 제1차 주산의학회 학술대회를 갖게 되었으며 그후 매년 가을에 1회씩 정기적인 학술대회를 갖고 있다.
1989년 제2대 김승욱 회장의 발의에 의하여 1990년 1월 16일부터 연2회 대한주산의학회 잡지 (대한주산의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를 간행하기로 하였다.
제3대 이재현 회장부터 회원동태 파악, 학술지 발간 및 학술대회 등 모든 학회사업 등이 안정기에 접어들게 되었다.
1993년 제4대 배도환 회장부터 학회 잡지를 년4회 발간(문공부 등록)키로 하여 회보를 작성하여 우송하였으며 1993년 세계주산의학회(The World Association of Perinatal Medicine)에 가입하였으며 아시아-대양주 주 산의학회(FAOPS)에도 매년 정기적인 회비를 납부하고 있다. 간행위원회에서는 「임신과 수유중 약물선택」 책자를 제작하였다.
1994년 이헌영 교수님께서 제5대 회장으로 취임하여 1998년 제10차 아세아-대양주 주산의학학술대회를 위한 공동조직위원장(한동관,배도환)을 선임하고 준비작업에 들어갔으며, 1996년에 제 1차 춘계 연수강좌를 실시하였다.
1996년
10월
제 6대 한동관 회장이 취임하였으며, 제 2차 및 제 3차 춘계 연수강좌를 각각 1997년 6월과 1998년 6월에 성공리에 개최하였다.
1997년
11월
제 12차 추계학술대회 정기 총회에서는 회칙을 개정하였다.
1998년 10월 24일부터 10월 28일까지 제 10차 아세아 - 대양주 주산의학 학술대회가 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성황리에 열렸다. 공동 조직위원장이셨던 한동관 교수, 배도환 교수, 사무총장을 맡으신 김수평 교수, 피수영 교수 그 외 여러 교수들의 헌신적인 노력과 치밀한 계획으로 인하여 성공적이고도 훌륭한 학술대회를 마칠 수 가 있었다.
1998년 취임한 제7대 이홍균 회장은 임기중 정보화사업에 앞장서서 학회 homepage를 만들어 회원들간의 정보교류를 원활하게 하는데 기여하였다.
2000년 제8대 회장으로 피수영 교수가 취임하여 제8대 임원진을 구성. 모든 회원들에게 회원증을 제작·발급하였다.
2001년
5월 27일
제6차 춘계연수강좌를 워크숍형식으로 성황리에 개최하였으며, Workshop전반을 촬영, 편집하여 CD-ROM으로 제작하였다. 2001년 제14차 추계학술대회를 광주 무등파크 호텔에서 최초로 지방개최를 실시하여 성황리에 마쳤다.
2002년
6월 9일
제7차 춘계연수강좌가 서울아산병원에서 「분만 직후 접할 수 있는 신생아 질환 및 처치」를 주제로 많은 개원의들이 참석하여 성황을 이루었다.
2002년
11월 8일
제15차 추계학술대회가 서울아산병원에서 「Preterm Birth」를 주제로 성황리에 열렸다. 이후 열린 정기총회에서 제9대 회장으로 가톨릭의대 산부인과의 김수평 교수가 취임하였다.
2003년
6월 8일
가톨릭의과학연구원에서「임신중 감염과 모유수유」등을 한 내용들을 심도있게 다뤘다. 특히 국내 모유수유의 문제점 분석과 확산을 위한 방안들을 논의했다. 전임회장과 사무총장에게 학회 발전을 위한 공로패가 수여됐다.
2003년
11월 14일
가톨릭의과학연구원에서「for the Better Perinatal Life」에 관한 주제로 성황리에 개최되었으며, 학술상 시상식이 있었다.
2004년
11월 19일
르네상스 서울호텔 다이아몬드룸에서 Thomas J. Garite 교수와 Barbara Stonestreet 교수, 그리고, 최근에 선진 각국에서 주산의학 분야를 연수하고 귀국하신 패기만만한 다섯분의 교수가 "주산의학 분야의 최신 지견들 (Recent Advances in Perinatology)"에 대한 주제로 심포지움이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이와 함께 제2회 우수논문상은 건국의대 소아과 김민희 "내독소 투여로 유발된 흰쥐의 급성 폐 손상에서 표면 활성제(surfactant) 투여가 Interleukin(IL)-1β와 IL-6에 미치는 영향"과 한양의대 산부인과 박문일 "자궁경부무력증의 수술적 치료에서 기존 자궁경부 봉합술과 생체아교를 이용한 변형 질식 자궁경부 봉합술 후의 치료성적 비교"이 수상하였고, 일반연제 4편(산과2편, 소아과2편)도 함께 시상하였다. 제7대 회장을 엮임하신 인제의대 이홍균 명예회장님께서 정년퇴임을 맞아 송축패와 주후원사(남양유업, 매일유업, 일동후디스, 한국애보트)에 감사패를 함께 전달하였다.
이후 열린 정기총회에서 제 10대 회장으로 한양의대 소아과의 문수지 교수가 취임하였다.
2004년
6월 20일
가톨릭의과대학 의과학연구원 대강당에서 "성장 이상 태아 및 신생아관리와 제대혈 보관 및 임상적 적용"에 관한 주제로 성황리에 개최되었으며, 대한주산의학회잡지 논문중 원저에 한해 수여되는 제1회 우수논문상 시상식이 함께 거행되었다. 수상자는 성균관의대 소아과 황종희 " 빌리루빈의 신경독성에 대한 MK-801의 신경학적 방어효과에 관한 연구"와 전남의대 산부인과 김윤하 "자간전증에서 제대정맥혈장과 태반내 단백산화 촉진능 증가"각각 수상하였다. 이후 열린 정기총회에서 제10대 회장으로 한양의대 소아과의 문수지 교수가 취임하였다.
2005년
6월 20일
가톨릭의과대학 의과학연구원 대강당에서 "성장 이상 태아 및 신생아관리와 제대혈 보관 및 임상적 적용"에 관한 주제로 성황리에 개최되었으며, 대한주산의학회잡지 논문중 원저에 한해 수여되는 제1회 우수논문상 시상식이 함께 거행되었다. 수상자는 성균관의대 소아과 황종희 " 빌리루빈의 신경독성에 대한 MK-801의 신경학적 방어효과에 관한 연구"와 전남의대 산부인과 김윤하 "자간전증에서 제대정맥혈장과 태반내 단백산화 촉진능 증가"각각 수상하였다. 2003년 11월 14일 가톨릭의과학연구원에서「for the Better Perinatal Life」에 관한 주제로 성황리에 개최되었으며, 학술상 시상식이 있었다.
2006년
6월 20일
가톨릭의과대학 의과학연구원 대강당에서 "성장 이상 태아 및 신생아관리와 제대혈 보관 및 임상적 적용"에 관한 주제로 성황리에 개최되었으며, 대한주산의학회잡지 논문중 원저에 한해 수여되는 제1회 우수논문상 시상식이 함께 거행되었다. 수상자는 성균관의대 소아과 황종희 " 빌리루빈의 신경독성에 대한 MK-801의 신경학적 방어효과에 관한 연구"와 전남의대 산부인과 김윤하 "자간전증에서 제대정맥혈장과 태반내 단백산화 촉진능 증가"각각 수상하였다. 2003년 11월 14일 가톨릭의과학연구원에서「for the Better Perinatal Life」에 관한 주제로 성황리에 개최되었으며, 학술상 시상식이 있었다.
이후 열린 정기총회에서 제11대 회장으로 연세의대 산부인과의 이국교수가 취임하였다.
2008년
12월 15일
2006년12월4일 대한주산의학회 인수인계를 하였고 제11대 대한주산의학회 신임집행부와 상임위원회를 구성하였다. 기존의 위원회에 국제협력위원회를 신설하였다. 또한 기존의 학회 홈페이지를 새롭게 개편하였다. 2007년 6월3일 아산병원 대강당에서 제12차 춘계연수강좌를 개최하였고 많은 참석을 독려하기 위해 간호사를 위한 학회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2007년 11월16일에 제20차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하여 해외 연자로 Naoki Masaoka 교수의 Pharmacological strategy to prevent fetal brain damage와 Satoshi Kusuda 교수의 Outcomes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in Japan: An analysis of network database에 대한 강의가 진행되었고. 우수구연상 및 우수논문상에 대한 시상이 있었다. 정기총회에서 주산의학회 회칙개정안이 통과 되었다. 2008년 3월3일 Perinatal database system개발을 위한 TFT가 구성되어 프로그램 개발작업을 시작하였고 다음 회기로 이월하여 개발 완료예정이다. 2008년 4월11일 대한주산의학회 호남지회(전북의대 산부인과 조성남교수)가 창립되어 심포지엄을 개최하였다. 2008년 6월15일 아산병원 대강당에서 제12차 춘계연수강좌를 개최하였고 연구윤리규정을 제정하였으며, 대한주산의학회지 투고규정을 개정하였다. 2008년11월14일 아산병원 대강당에서 제21차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하였고 Naoto Takahashi교수의 Struggle against MRSA infections in Japanese NICUs from '90s 및 Pathophysiology of an emerging neonatal infectious disease induced by a bacterial superantigen의 강연과 Panel discussion “저출산, 무엇이 문제이고 어떻게 극복해 나갈 것인가?” 를 주제로 1. 저출산의 원인과 사회적 파급효과, 2. 저출산이 의료에 미치는 영향 3. 저출산 극복을 위한 정부의 정책 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있었다. 우수논문상, 우수구연상 및 신설된 우수포스터상에 대한 시상이 있었으며 이어진 정기총회에서 유병훈교수(중앙의대 소아청소년과)가 제12대 회장으로 취임하였다.
2010년
12월 3일
2008년 12월 15일 대한주산의학회 인수인계 하였고 제12대 대한주산의학회 신임집행부와 상임이사회를 구성하였다. 기존의 위원회에서 통계특별위원회를 신설 하였다. 2009년 6월 6일 아산병원 대강당에서 제14차 춘계연수강좌를 개최하였고, 간호사 보수교육 인정 평점 인 8평점을 받아 간호사들의 많은 참여로 성황리에 개최 되었다. 2009년 11월 14일 아산병원 대강당 제22차 추계학술대회에 처음 남양학술상을 제정하여, 제1회 남양학술상을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각각 시상 하게 되었다. 해외 연자로 Masato Kamitomo 교수의 Fetal cardiac function during long term hypoxia와 Akio Kubota 교수의 Progress in neonatal surgery in Osaka 에 대한 강의가 진행 되었고, 우수논문상 및 우수연제상, 우수포스터상이 시상 되었다. 정기총회에서 주산의학회 회칙개정안이 통과 되었다. 2010년 7월 본학회 전자논문투고 시스템이 오픈 되었다. 2010년 6월 12일 아산병원 대강당에서 제15차 춘계연수강좌에서 간호사 보수교육 평점을 받아 최대 등록으로 성황리 개최 되었다. 2010년 11월 20일 아산병원 대강당에서 제23차 추계학술대회가 개최 되었고, 제2회 남양학술상, 우수논문상, 우수연제상, 우수포스터상이 시상 되었고, 추계학술대회 간호사 참여 독려를 위한 간호부문 포스터상도 신설 되었다. Hitoshi Ishimoto 교수의 The Human Fetal Adrenal Gland: a Key Component of the Feto-Maternal Unit와 Kwang-sun Lee 교수의 Perinatal Care in the 20th Century: an Epidemiologic View 대한 강의가 진행 되었고, 특별강연으로 배종우 교수의 한국에서 주산기 의료센타의 중요함과 필요성에 대한 발표와 토론이 있었다. 정기총회에서 김 암 교수(울산의대 산부인과)가 제13대 회장으로 취임 하였다.
2012년
12월 17일
2010년 12월 2일 대한주산의학회 인수인계 하여, 제13대 대한주산의학회 신임집행부와 상임이사회를 구성하였다. 기존의 위원회 통계특별위원회를 고위험주산기센타 TFT로 변경 하였다. 2011년 4월 8일 제4회 호남지회, 6월 18일 건국대학교병원 대강당 제16차 춘계연수강좌를 개최하였고, 7월 2일 고위험 산모 신생아 통합 치료센터 설립 발전을 위한 공청회를 개최 하였다. 11월 12일 아산병원 대강당 제24차 추계학술대회에 해외 연자로 Masanori Fujimura 교수의 Quality improvement of neonatal care and neonatal research network in Japan와 Raman Subramaniam 교수의 Medicolegal aspects of obstetric practice in Malaysia 에 대한 강의가 진행 되었고, 연구윤리규정이 개정 되었다. 2012년 3월 31일 대한주산의학회 영남지회(계명의대 산부인과 김종인교수)가 창립되어 심포지엄을 개최하였다. 4월 27일 전주 예수병원 제5회 호남지회, 6월 30일 아산병원 대강당 제17차 춘계연수강좌를 개최하였다. 12월 1일 아산병원 대강당 제25차 추계학술대회에 해외 연자로 Mitsutoshi Iwashita 교수의 No fault compensation in perinatal medicine in Japan와 Osuke Iwata 교수의 Perinatal brain injury: diagnosis, consequence and treatment 에 대한 강의가 진행 되었고, 소아외과 참여 독려를 위한 소아외과부문 구연, 포스터상도 신설 되었다. 정기총회에서 김민희 교수(건국의대 소아청소년과)가 제14대 회장으로 취임 하였다.
2014년
11월 21일
2012년 12월 17일 대한주산의학회 인수인계 하여, 제14대 대한주산의학회 신임집행부와 상임이사회를 구성하였다. 2013년 5월 3일 제6차 호남지회, 6월 22일 건국대학교병원 대강당 제18차 춘계연수강좌를 개최 하였고, 7월 20일 고위험주산기센타TFT 공청회가 개최되어 관계자 및 기자단이 참석 하였다. 11월 9일 아산병원 대강당 제26차 추계학술대회 해외 연자로 일본 주산기·신생아학회 이사장 Masanori Tamura 교수의 Development of Neonatal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NCPR) Program and current problems in Japan와 주산기·신생아학회 대외협력이사 Hiroshi Sameshima 교수의 Current status of perinatal brain damage: A regional population-based study in southern Japan 에 대한 강의와 향후 한일 교류에 대한 회의도 진행 되었다. 정기총회에서 주산의학회 회칙개정안이 통과 되었다. 2014년 e-journal 학회지 http://e-kjp.org 홈페이지를 개설 하였고, 4월 11일 제7차 호남지회, 6월 14일 건국대학교병원 대강당 제19차 춘계연수강좌를 개최 하였다. 11월 6일 제18차 아시아-오세아니아 주산의학회 박원순, 최병민, 김광준 교수가 초청연자로 참석하였고, 11월 12일 [주산기의학-증례로 배우는 진단과 치료] 출판 간담회, 11월 15일 아산병원 대강당 제27차 추계학술대회에 해외 연자로 Se-chin Cho 교수의 Next Generation DNA Sequencing and Its application in Clinical Medicine와 Yumi Kono 교수의 Neurodevelopmental Outcome of VLBW Infants in Neonatal Research Network Japan 에 대한 강의가 진행 되었고, 정기총회에서 조용균 교수(인제의대 산부인과)가 제15대 회장으로 취임 하였다.
2016년 12월 11일 2014년 11월 21일 대한주산의학회 인수인계 하여, 제15대 대한주산의학회 신임집행부와 상임이사회를 구성하였다. 2015년 5월 8일 제8회 호남지회를 개최하였고, 6월 20일 예정되었던 제20차 춘계연수강좌가 메르스(MERS, 중동호흡기증후군)로 인하여 취소 되었다. 11월 20일 아산병원 대강당 제28차 추계학술대회에 해외 연자로 Nobuya Unno 교수의 Current Status in Perinatal Medicine in Japan - Human Resources and Social System 와 Tomoaki Taguchi 교수의 Current Status and Progress of neonatal Surgery in Japan 에 대한 강의가 진행 되었다. 2016년 5월 대한주산의학회잡지가 국영문 명칭이 통합되며 국제화에 맞춰 ‘Perinatology’로 변경 되었다. 2016년 7월 8일 제9회 호남지회를 개최하였고, 2016년 6월 18건국대학교병원에서 제21차 춘계연수강좌를 개최하였다. 12월 10일 아산병원 대강당에서 제29차 추계학술대회, ‘30주념 기념 사진전’을 개최 하였다. 해외연자로 Kazuko Wada 교수의 Our challenges for the intact survival of newborn babies 강의가 진행되었다. 정기총회에서 박원순 교수(성균관의대 소아청소년과)가 제16대 회장으로 취임 하였다.
2018년 12월 18일 2017년 1월 20일 대한주산의학회 인수인계 하여, 제16대 대한주산의학회 신임집행부와 상임이사회를 구성하였다. 2017년 4월 6일 제10차 호남지회, 6월 24일 서울아산병원 대강당 제22차 춘계연수강좌를 개최 하였다. 11월 25일 서울아산병원 대강당에서 제30차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하였고 해외 연자로 Mamoru Tanaka 교수의 Fetal Cardiac Abnormalities : Screening, Evaluation and New Technology와 Socorro De Leon Mendoza 교수의 Improving NICU Outcomes: Essential Role of the Family에 대한 강의가 진행 되었다. 2018년 4월 6일 제11차 호남지회, 6월 16일 서울아산병원 대강당 제23차 춘계연수강좌를 개최 하였다. 11월 24일 서울아산병원 대강당 제31차 추계학술대회에 해외 연자로 Satoshi Yoneda 교수의 Pathology and novel management strategies for preterm labor from viewpoints of intra-amniotic inflammation and/or infection와 Kazuo Itabashi 교수의 Nutritional management of very preterm infants: strategies for improving long-term outcomes에 대한 강의가 진행 되었고, 정기총회에서 김석영 교수(가천의대 산부인과)가 제17대 회장으로 취임 하였다.
2020년 11월 21일 2019년 1월 16일 인수인계하여, 제17대 대한주산의학회 신임집행부와 상임이사회를 구성하였다. 2019년 4월 12일에 제12차 호남지회, 6월 15일에 제24차 춘계연수강좌를 개최 하였다. 2019년 7월 13일~15일에 제 55회 일본 주산기신생아학회에 김석영, 최병민, 오수영 교수가 초청연자로 참석하였고, 11월 22일 한국과 일본의 연자 교류 및 지속적인 의학적 협력을 위해 일본 주산기신생아학회 국제협력이사 Mamoru Tanaka 교수의 참석 하에 MOU 체결식을 시행하였다. 11월 23일 제32차 추계학술대회에서 해외 연자 Shinji Tanigaki 교수의 Comparison of the Current Prenatal Care in Korea vs. Japan와 Katsuya Hirata 교수의 Long-term Pulmonary Functional Outcomes of Premature Infants with Intrauterine Inflammation에 대한 강의가 있었으며, 보건복지부 공공의료과 용역 과제로 2018년 11월부터 2019년 5월에 수행한 ‘중앙모자의료센터 운영 모델 개발 연구’의 결과 보고를 진행하였다. 후속 용역 과제로 2019년 11월부터 2020년 5월까지 ‘지역모자의료센터 구축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를 수행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 제13차 호남지회, 제25차 춘계연수강좌를 취소하였다. 2020년 10월 1일에 영문홈페이지를 개설하였으며, 2020년 11월 21일 제33차 추계학술대회를 온라인으로 개최하였다. 정기총회에서 최병민 교수(고려의대 소아청소년과)가 제18대 회장으로 취임하였다.
2022년 11월 19일 2021년 1월 20일 인수인계하여, 제18대 대한주산의학회 신임집행부와 상임이사회를 구성하였다. ‘FAOPS 2024’ 유치를 위해 2월 22일 유치위원회 발족 회의를 진행 하였고, 9월 19일 서울 유치 신청서를 제출 하였다. 2021년 제 14회 호남지회 학술대회 코로나-19로 미개최, 6월 5일에 온라인 생중계(중계장소 : 코엑스 컨퍼런스룸(남) 3층 310호)로 제26차 춘계연수강좌를 개최 하였다. 7월 11일~13일 제57회 일본주산기/신생아학회에 박지윤, 염숙경 교수가 초청연자로 참석 하였다. 11월 20일에 온라인 생중계(중계장소 : 코엑스 컨퍼런스룸(남) 3층 304호)로 제34차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하였고 ‘FAOPS 2024’ 유치를 위해 한일주산의학회 joint session에 FAOPS session을 진행하였다. 회칙 규정이 2013년도에 개정된 이후 2021년 현재 위원회 구성에 변화가 있어 회칙 개정을 하여 정기총회에서 승인 받아 2022년 2월 9일 대한의학회로부터 회칙 개정 인준 통보 받았다. 2021년 12월 18일 ‘FAOPS General Assembly Meeting’에서 서울 FAOPS Congress 2024 개최지로 선정 되었다. 2022년 제15회 호남지회 학술대회 코로나-19로 미개최, 6월 4일 코엑스 컨퍼런스룸(남) 327호에서 제27차 춘계연수강좌를 개최 하였다. 7월 10일 제58회 일본주산기/신생아학회에 설현주, 신승한 교수가 초청연자로 참석 하였다. 11월 19일 서울아산병원 대강당에서 제35차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정기총회에서 노정래 교수(삼성서울병원 산부인과)가 제19대 회장으로 취임하였다.
2024년 11월 11일 2022년 12월 15일 인수인계하여, 제19대 대한주산의학회 신임집행부와 상임이사회를 구성 ‘FAOPS 2024’개최 준비를 위해 FAOPS담당 특별위원회를 구성하였다. 2023년 4월 21일 제16회 호남지회 학술대회 개최, 5월 20일 서울아산병원 대강당에서 제28차 춘계연수강좌를 개최 하였다. 7월 9일 제59회 일본주산기/신생아학회에 이준호, 윤영아 교수가 초청연자로 참석 하였고, 10월 8일 일본 ‘FAOPS 2023’에 노정래, 박은애, 최창원, 성지희 교수가 참석하여 ‘2024 FAOPS Seoul’ 홍보 하였다. 11월 25일 서울아산병원 대강당에서 제36차 추계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2024년 제17회 호남지회 학술대회 미개최, 4월 27일 서울아산병원 대강당에서 제29차 춘계연수강좌를 개최 하였다. 7월 13일~15일 제60회 일본주산기/신생아학회에 김석영, 조수진 교수가 초청연자로 참석 하였다. 9월 4일~6일 코엑스 아셈볼룸에서 FAOPS 2024와 제37차 추계학술대회를 공동 개최하여 21개국 750여명이 참석하여 성황을 이루었다. 정기총회에서 박은애(이화의대 소아청소년과)가 제20대 회장으로 취임하였다.